가장 베이스 패키지인 graphics는 별도 설치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다.
graphics 패키지에는 plot( ), hist( ), barplot( ), pie( ), boxplot( ) 등이 있다.
함수 | 설명 |
plot( ) | 산점도 |
hist( ) | 히스토그램 |
barplot( ) | 막대그래프 |
pie( ) | 파이 차트 |
boxplot( ) | 박스 플롯 |
1. plot 함수
plot(x축 데이터, y축 데이터, [ xlab = "x축 이름", ylab = "y축 이름", main = "그래프 제목", type = "p"] )
데이터가 하나만 입력되면 x축은 Index로 자동 지정되고 y축에 데이터 값이 표현된다.
type인자로 산점도의 출력 형태를 지정할 수 있다.
p | 점 출력 |
l (소문자 L) | 선 출력 |
b | 점, 선 동시 출력 (점과 선이 겹치지 않음) |
o | 점, 선 동시 출력 (점과 선이 겹쳐 있음) |
h | 세로 막대 모양 |
s | 계단 모양 |
S | 계단 모양 |
n | 좌표를 그리지 않음 |
# 왼쪽 그림
plot(culture.df$음악.및.무용발표회.관람, culture.df$전통예술공연.관람,
xlab = "music and dance", ylab = "trad_performance",
main = "seoul_culture_spending", type = "b")
# 오른쪽 그림
plot(culture.df$음악.및.무용발표회.관람, ylab = "price",
main = "seoul_culture_spending", type = "b")
![]() |
![]() |
2. hist 함수
hist(x축 데이터, [ xlab = "x축 이름", ylab = "y축 이름", main = "그래프 제목", freq = TRUE/FALSE, breaks = 계급 구간 지정 ] )
freq인자는 기본값이 TRUE이며 이때는 도수, FALSE일 때는 상대 도수를 표시한다.
hist(culture.df$스포츠경기.관람,
xlab = "price", main = "Sports Ticket Price",
xlim = c(20000, 120000))
3. barplot 함수
barplot(height, [ xlab = "x축 이름", ylab = "y축 이름", main = "그래프 제목", names.arg = 막대에 사용될 문자열 ] )
barplot(formula, data = , [ xlab = "x축 이름", ylab = "y축 이름", main = "그래프 제목", names.arg = 막대에 사용될 문자열 ] )
height에는 벡터나 행렬이 들어가야하고, formula에는 수치형 데이터 ~ 범주형 데이터 형식으로 작성하며, data에 데이터프레임이나 리스트 데이터를 넣어준다.
# 동일한 형태의 그래프의 다른 작성법
barplot(result$n, names.arg = result$MAX_SEV) # 축 이름은 설정되어 있지 않다.
barplot(n ~ MAX_SEV, data = result) # 축 이름을 자동으로 설정한다.
![]() |
![]() |
4. pie 함수
pie(수치형 벡터, [labels = 레이블, main = 그래프 제목])
pie(x = RM$x, labels = RM$RM)
![]() |
![]() |
5. boxplot 함수
boxplot(x / formula, [xlab = , ylab = , main = ]
# 왼쪽 예시
boxplot(toyota.df$KM, main = "Toyota Corolla")
# 오른쪽 예시
boxplot(toyota.df$KM ~ toyota.df$Fuel_Type,
xlab = "Fuel Type", ylab = "KM")
![]() |
![]() |
여기까지 R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시각화 함수 사용을 연습해보았다.
'[R] 연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R] 지터링(jitter) (0) | 2022.02.06 |
---|---|
[R] 시각화(ggplot 패키지편) (0) | 2022.01.23 |
[R] 기초 문법 4 (0) | 2022.01.16 |
[R] 기초 문법 3 (0) | 2022.01.15 |
[R] 기초 문법 2 (0) | 2022.01.13 |